논문

뒤시엔느형 근디스트로피 환자에서 Sniff Nasal Inspiratory Pressure의 임상적 의의

*내용: Sniff nasal inspiratory pressure는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(MIP)와 함께 두시엔느 근디스트로피 환자에서 흡기근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며 MIP보다 측정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는 점을 밝힌 논문. *장현정, 강성웅, 박윤길, 김완, 유태원, 이병인  https://ir.ymlib.yonsei.ac.kr/handle/22282913/109873

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congenital fiber type disproportion myopathy and congenital myopathy with type 1 fiber predominance

*내용: 선천성 근육병에는 종류가 다른 여러질환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Congenital myopathy with fiber type disproportion (CFTD)와 Congenital myopathywith type 1 fiber predominance(CMT1P)의 특징 및 차이점을 기술한 논문. *Na SJ, Kim WK, Kim TS, Kang SW, Lee EY, Choi YC https://ir.ymlib.yonsei.ac.kr/handle/22282913/109424

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cough capacity in patients with Duchenne muscular dystrophy

*내용: 근육병 환자에 있어서는 기침을 통한 가래배출이 호흡기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하다. 이러한 기침에 있어서 호기근 뿐아니라 흡기근도 기침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증명하고 호흡평가시에 호기근, 흡기근의 근력평가가 필요함을 역설한 논문. *Kang SW, Kang YS, Sohn HS, Park JH, Moon JH https://ir.ymlib.yonsei.ac.kr/handle/22282913/109421

Assisted cough and pulmonary compliance in patients with Duchenne muscular dystrophy

*내용: 근육병 환자의 기침 능력에 미치는 여러 요소들을 기술. 특히 가래를 뱉어 내는데 호기근 뿐아니라 흡기근의 영향이 중요함과 효율적인 기침을 위해서는 호흡근력 뿐 아니라 폐의 탄성이 유지돼야 하면 이를 위해 정기적인 공기누적운동이 필요함을 강조. *Kang SW, Kang YS, Moon JH, Yoo TW https://ir.ymlib.yonsei.ac.kr/handle/22282913/147366

Maximum insufflation capacity

*내용: 근육병이 진행됨에 따라 호흡근력이 약화도 진행되지만 공기누적운동을 통하여 폐의 탄성을 유지하면 폐활량의 감소, 호흡근력이 약화에도 불구하고 보조기침능력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수 있음을 설명한 논문. *Kang SW, Bach JR https://pubmed.ncbi.nlm.nih.gov/10893360/

Maximum insufflation capacity: vital capacity and cough flows in neuromuscular disease

*내용: 능동적인 호흡능력뿐아니라 폐의 탄성의 유지도 가래배출 및 호흡기합병증 예방에 중요하다. 특히 폐의 탄성을 나타내는 최대주입용량은 폐활량의 1500cc가 안되는 신경근육계 질환환자에게 있어서는 기침능력에 더욱 영향을 미침을 기술한 논문. *Kang SW, Bach JR https://ir.ymlib.yonsei.ac.kr/handle/22282913/171530

Disorders of ventilation:weakness, stiffness, and mobilization

*내용: 팔다리의 구축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트레칭 운동이 필요하듯, 폐의 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누적운동이 필요함을 기술한 논문 . 특히 소아 환자의 경우 폐의 올바른 성장 및 흉곽 변형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공기누적운동이 필요함을 강조. *Bach JR, Kang SW https://ir.ymlib.yonsei.ac.kr/handle/22282913/171592

Scroll to Top